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빅히트는 오는 15일 오전 9시 증시 개장과 함께 유가증권시장에서 거래를 시작한다.
오전 8시 30분부터 9시까지 호가를 접수해 공모가의 90∼200% 범위에서 시초가가 정해진다.
따라서 공모가가 13만5천원인 빅히트의 시초가는 12만1천500원∼27만원 사이에서 결정된다.
만약 시초가가 27만원으로 정해지고 상장과 동시에 상한가로 직행하면 빅히트는 상장 첫날에 최고 35만1천원까지 오를 수 있다. 이 경우 수익률은 공모가 대비 160%에 이른다.
빅히트가 기관 투자자 수요예측과 일반 청약에서 SK바이오팜과 카카오게임즈에 견줄 만한 흥행몰이를 한 만큼 '따상'을 기대해볼 만하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앞서 '따상'에 성공한 SK바이오팜과 카카오게임즈는 각각 상장일부터 3거래일 연속, 2거래일 연속 상한가로 마감했다.
그래서 빅히트도 상장 첫날 '따상'을 시작으로 그 이후에도 상한가 행진을 이어갈 수 있을지도 투자자들의 관심사다.
다만 SK바이오팜과 카카오게임즈 모두 주가가 상장 초기에 급등한 후 하락세를 보인 학습 효과로 투자자 눈치 싸움이 더 치열해질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있다.
공모가 기준 빅히트 시가총액은 약 4조8천억원으로 이미 3대 기획사의 합산 시가총액을 훌쩍 뛰어넘었다. 13일 종가 기준 JYP·YG·SM의 합산 시가총액은 2조9천879억원이다.
빅히트가 '따상'을 기록하면 상장 첫날 시가총액은 단숨에 약 12조5천억원으로 불어난다. 13일 기준으로 코스피 26위 수준이다.
공모가가 고평가됐다는 논란도 꾸준한 가운데 지금까지 증권가에서 제시한 빅히트 목표주가는 최저 16만원부터 최고 38만원에 이르기까지 그 격차가 상당히 크다.
각 증권사가 내놓은 빅히트 목표주가는 메리츠증권 16만원, IBK투자증권 24만원, 유안타증권 29만6천원, 하나금융투자 38만원 등이다.
'이익 결정 요소인 팬덤 성장이 성숙기'(메리츠증권), '방탄소년단 매출은 2년 안에 1조원을 넘을 전망'(하나금융투자) 등 빅히트 기업 가치를 두고 다양한 시각이 나오고 있다.
'관심 기업 및 성장 산업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소에너지 '수전해 설비' 없이는 불가능… 한국은 아직 개발단계 (0) | 2020.10.15 |
---|---|
삼성생명, 삼성전자 지분 과도 보유, 보험사 특정사의 지분 3%이상 보유 못해 (0) | 2020.10.15 |
관계부처 합동「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확정 (0) | 2020.10.14 |
2020년 상장기업의 기업지배구조 평가 및 등급표 (0) | 2020.10.14 |
큐렉소, 국내 및 해외 의료로봇 시장 선도, 성과가 주식에 곧 반영될 듯 (0) | 2020.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