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심 기업 및 성장 산업 동향

수소 경제 성과 및 수소 선도 국가 비전, 민관합동 보고대회

by 금융복지사 2021. 10. 15.
728x90
반응형
SMALL

R2110209.pdf
1.02MB
R2110209-1 피피티.pdf
7.66MB

 

정부는 10.7일(목) 차세대 연료전지 특화단지, 국내 최대 규모의 액화
수소 플랜트 구축 등 수소경제 핵심거점으로 자리 잡은 인천에서
『수소경제 성과 및 수소선도국가 비전』을 발표하였다.
ㅇ 이번 행사에는 정부, 지자체, 수소산업 기업, 공기업, 유관기관 등
70여명이 참석하였으며, 특히, 수소 생산부터 저장·운송, 활용 등
수소경제 관련 기업들이 모두 참여하여 수소선도국가의 꿈을 실현
하기 위해 힘을 모았다.

 

정부는 “수소, 대한민국이 주도하는 첫 번째 에너지”가 될 수 있도록,
①국내외 청정수소 생산주도, 

②빈틈없는 인프라 구축, 

③모든 일상에서 수소활용,
④생태계 기반 강화 등 속도감 있게 수소경제 생태계를 구축한다.


ㅇ 수소사용량을 현재 22만톤 수준에서 ‘30년 390만톤*, ’50년 2,700만톤까지
확대하고, 청정수소 비율을 ‘30년 50%, ’50년 100%로 높여갈 계획이다.
* 당초 수소경제로드맵(‘19.1월)상 ’30년 수소사용량 194만톤보다 2배 확대

 

◇ 수소차·수소충전소·연료전지 보급 2년 연속 세계 3관왕 기록
◾ 수소트럭·차량용 연료전지시스템, 발전용 연료전지 수출 쾌거

 

◇ 2030년 글로벌 수소기업 30개 육성, 수소사용량 390만톤
◾ 국내 청정수소 생산 본격화 ➡‘30년 100만톤(그린·블루)
◾ 청정수소 생산·해외 도입 ➡ 밸류체인별“H2 STAR”프로젝트 가동

 

◇ 수소차 전차종 출시에 대비하여 수소연료전지 年10만기 생산공장 신축

 

 

 

 청정수소 중심의 수소경제로의 빠른 전환을 위해 향후 실증 지원 등을
통해 국내 청정수소 생산을 본격화한다.

 청정수소를 다방면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강력하고 빈틈없는
수소인프라를 구축한다.

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모든 일상에 수소 활용을 적극
확대해 나간다.

 기업과 정부간 혼연일체된 협력으로 우리나라의 수소경제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해 나간다

tn

https://coupa.ng/b8Rmen

 

탐사수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