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액면분할 전, 55만 8천원을 종가로 마감을 하였다.
2018년 이후 액면분할한 기업 71곳을 살펴보니
한 달 뒤 주가 상승한 기업은 24곳, 하락은 46개기업이었다고 한다.
카카오는 그럼 어떻게 될까?
기업의 성장과 확장성을 볼때
단타나 기관투자자의 수익실현으로 잠시 주춤할 수 있겠으나
꾸준히 올라갈것으로 예상되며
액면분할 전 네이버가 시가총액 3위이고 카카오가 9위였으나
액면분할후 카카오가 장중 초반 5위로 껑충 올라타다
1시간후 6위로 머무르고 있어
계속 네이버를 따라갈것으로 보여
주가의 렐리는 계속될것으로 판단된다.
필자는 예수금이 적어
투자를 못하고 있다가 늦게 들어간 편이고
액면분할 소식을 듣고 영끌해서 소액이지만
45만원때 몇 주를 부랴부랴 매수 했다.
단기 상승을 보고 투자하기 보다는
현재 사업의 확장성과 성장성이 이만한 기업이
별로 없기때문에 투자할 만한 몇 안되는 좋은 기업이라고
판단했고 싸질때 매수기회다 싶어 추격매수를 하고 있다.
현재 네이버가 39만원대로 카카오가 추격을 한다면
카카오도 20만원, 30만원으로 따라갈 듯 싶다.
얼마전까지 시가총액이 네이버가 60조, 카카오가 40조때였는데
현재 카카오는 약 55조로 네이버를 바짝 따라가고 있다.
전반기내에 5위안에 들어가고 4위에 머무를수도 있을것으로 예상해본다.
최근 수년간 액면분할한 대형주들의 주가 추이. 출처=한국거래소
또 다른 IT 공룡네이버도 지난 2018년 5대1 비율로 액면분할을 했다. 그해 7월 26일 공시 당일 네이버의 주가는 75만1,000원(분할 후 주가 기준 15만200원)에 육박했다. 신주가 상장한 10월 12일 네이버의 주가는 14만2,000원을 기록했다. 이후 한 달간 네이버의 주가는 10만4,000원까지 크게 떨어졌다가 2019년 하반기에 들 어서야 본격적인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다.
지난해 상승장에 전 국민 주식으로 자리매김한 삼성전자도 같은 해 5월 액면분할을 했다. 1월 31일 50대1 액면분할을 깜짝 공시한 후 신주 상장을 위한 거래 정지일까지 6.2%가량 더 올랐다.다만 거래재개 후 삼성전자의 주가는 약 8개월 동안내리 하락했고 액면분할 당시 주가 수준을 회복하는 데는 약 17개월이 걸렸다.
금융투자업계 "액면분할보다 실적이 중요"
다만 업계에서는 주식분할이 주가의 향방을 결정하는 요인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주식분할 자체보다는 해당 기업이 향후 얼마나 이익을 낼 수 있는지가 더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주가가 액면분할 당시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아모레퍼시픽과 롯데칠성의 실적을 살펴보면 아모레퍼시픽의 순이익은 최근 3년 연속 하락세(3,348억원→2,238억원→219억원)고 롯데칠성의 경우는 3년 연속 당기순이익이 적자(-500억원→-1,440억원→-168억원)를 기록하고 있다.
이후 주가를 회복하고 이어 추가적인 상승세를 보인 네이버와 삼성전자의 실적은 사뭇 다르다.네이버는 최근 3년간 영업이익(9,425억원→1조1,550억원→1조2,153억원)과 당기순이익(6,279억원→3,968억원→8,450억원)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삼성전자는 같은 기간 국내에서 가장 많은 영업이익을 낸 기업으로 꼽힌다. 지난해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35조9,500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2위 한국전력공사의 영업이익은 3조7,459억원이다.
투자업계 관계자는 "주식(액면) 분할 자체는 기업의 이익이나 주식 가치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기업이 향후 얼마나 이익을 낼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면서 "증권가에서도 이를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으로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주식분할 소식에 따로 리포트를 내거나 하진 않는다"고 말했다.
카카오의 최근 3년간 매출액은 2018년 2조4,170억원, 2019년 3조701억원, 2020년 4조1,568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각각 729억원, 2,068억원, 4,559억원이다. 당기순이익은 2018년 159억원, 2019년 -3,419억원, 2020년 1,734억원으로 나타났다.
-------------------
액면분할후 상장된 당일
132,500원으로 급 상승하였지만
대부분 개인투자자의 매수가 강했고
개인만 빼고 기관, 외국인, 프로그램, 연기금등은 모두 매도하여 수익실현을 하였다.
거래량이 그동안 보다 상당히 눈에 띄는 것을 볼 수 있고
그 다음날 전날보다 낮은 가격에서 시작되었지만
여전히 매수세가 강한 것으로 보아
폭은 크지 않겠으나 계속적인 매수 렐리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시가총액 1위를 향하여~~~고고
4월 16일 카카오 주가
'관심 기업 및 성장 산업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를 경험하고 카카오와 동행한다. (0) | 2021.04.23 |
---|---|
카카오 지금이라도 사야할까? (0) | 2021.04.22 |
AI 기업 바이브 컴퍼니(전, 다음소프트), 앞으로 10년 이상 투자할 기업 (0) | 2021.04.13 |
혁신성장을 위한 빅3(BIG3) 산업별 중점 추진과제 - 관계부처 합동 (0) | 2021.03.17 |
SK바이오팜 블록딜로 주가 하락, 그러나 가치는 변하지 않아... (0) | 2021.02.24 |